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 (NASDAQ: ELBM; TSX-V: ELBM) 개요
토론토에 본사를 둔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는 저탄소 배터리 소재 처리에 집중했다. 2017년 설립(구 퍼스트 코발트 사)됐으며, 배터리 등급 코발트·니켈 황산염을 생산하는 북미 최초의 완전 허가된 금속 정제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코발트·니켈 황산염 생산과 대규모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을 결합한 통합 ‘배터리 소재 파크’를 개발 중이다.
조직 구조 및 리더십
- 임직원 수는 약 11~50명이다.
- 2025년 중반 이사회 구성에 변화가 있었으며, 2025년 6월 전 알파 메탈러지컬 리소시스(Alpha Metallurgical Resources) CEO였던 데이비드 스텟슨이 의장으로 임명됐다. 국가안보·정보 분야의 조디 토마스 전 캐나다 총리 안보·정보 고문과 은퇴 미 해군 소장 제라드 휴버가 함께했다.
- 창업자 겸 CEO 트렌트 멜이 일상 운영을 총괄하며, 수처리 금속공정, 프로젝트 개발, 전략적 파트너십을 담당하는 경영진이 지원했다.

Battery materials by John Cameron
최근 동향 및 주요 뉴스
- 2025년 10월 15일 토론토에서 열린 정기 및 임시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을 확정하고 장기 인센티브 계획을 승인했다.
- 2024년 9월 10일 온타리오 코발트 황산염 정제소 완공을 위한 미화 2천만 달러 규모 전략적 투자 시설에 대한 구속력 없는 조건표(term sheet)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 2023년 10월에 정제소의 용제 추출 플랜트 및 결정화 회로에 필요한 장기 조달 장비를 미화 500만 달러어치 공급해 연간 최대 150만 대 전기차 생산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 2025년 유라시아 그룹 미·캐나다 정상회의에서 아키 배터리 리사이클링(Aki Battery Recycling)과의 협업을 논의하며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금융 및 전략 분석
2025년 10월 17일 종가 기준 나스닥 ELBM 주가는 3,858,454주 거래량 속에 전일 대비 31.71% 상승한 2.16달러에 마감했다. 52주 범위는 0.77~8.70달러, 5년 베타는 2.05로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
- 시가총액: 미화 3,305만 달러
- 기업가치(Enterprise Value): 미화 7,113만 달러
- 총현금: 미화 293만 달러
- 부채/자본 비율: 138%
- 레버리지 적용 자유현금흐름(TTM): –미화 1,595만 달러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으며 TTM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1.16달러다. 배당금은 지급하지 않는다. 전략적 이니셔티브로는 비희석적(non-dilutive) 자금 조달 확보에 주력했으며, 2024년 8월 미 국방부로부터 받은 미화 2천만 달러 보조금과 2025년부터 LG에너지솔루션과 체결할 19,000톤 규모의 코발트 황산염 수탁 판매 계약이 포함된다.
시장 위치 및 산업 맥락
일렉트라는 북미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해외 생산업체에 대한 국내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전 세계 배터리 등급 코발트의 90% 이상이 중국 기업이 공급되는 상황에서, 온타리오 정제소가 완전 가동되면 코발트·니켈 1차 정제와 블랙매스(black-mass)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을 결합할 수 있다. 이 전략은 미국·캐나다의 국내 핵심 광물 자원 확보, 탄소 배출 저감, 전기차·국방 부문 공급망 회복력 강화 목표와 일치한다.
tldr
- 2025년 10월 17일 ELBM 주가는 거래량 급증 속에 31.71% 상승한 2.16달러로 마감했다.
- 미 국방부로부터 미화 2천만 달러 보조금을 받았으며, 추가 미화 2천만 달러 전략적 투자 조건표를 확보해 온타리오 코발트 황산염 정제소 개발을 추진 중이다.
- 10월 15일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 및 장기 인센티브 계획을 승인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의 수탁 판매 계약 등을 통해 비희석적 자금 조달에 주력하고 있다.